어떤 사업의, 아이디어만 있다고 했을 때, 출시 전과 출시 후 로 나누게 된다면,
PM(Project Manager)과 서비스 기획자은 주로 프로젝트 출시 전에 정의를,
PO(Project Owner)는 주로 프로젝트 출시 전에 관리를 하게 된다.
따라서, 신규프로젝트를 출시하거나, SI와 에이전시에 소속되어 Product를 출시할때는,
프로젝트를 설계하는 PM & 서비스 기획자가,
출시 후 사업에 세부 카테고리가 생겨, B2C성격을 띄게 되어 다양한 고객이 있는경우에는,
프로덕트의 의사결정을 많이하는 PO가 필요하게된다.
출시 전 : PM & 서비스 기획자
요구 사항 분석 단계
- 비즈니스 관계자 (=의사결정권자 / e.g : CEO, 운영자) 와 소통하며 서비스 내용을 파악을 한다.
고객분석 단계
- 고객이 아직 없기에, 설문지를 돌리거나, FGI(Focus Gruop Interview, 대면인터뷰)를 통하여 고객들의 니즈를 분석한다.
- 벤치마킹도 진행한다.
설계 단계
- IA(Information architecture), 각종 정책 결정, 프로세스 정리, wire frame을 그린다.
(여기에서 주로, 각종 정책 결정, 프로세스 정리, wire frame을 작성하는 사람을 서비스 기획자라고 함)
(WireFrame을 작성하는 것은 디자이너 딴으로 빼기도 함)
출시 중에는. . .
- 일정관리 및, QA를 지원한다.
이렇게 나온 프로덕트에, 세부적인 사업 카테고리로 나누어지게되었다고 하자. (e.g. 카카오 쇼핑, 프렌즈, 게임, 맵 등)
그러한 사업들의 개선사항의 세부화와 고도화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했을 때,
업무가 밀려있다보면, 고객 중심으로 구성 되기에는 힘이 들기 때문에, 프로젝트 위주로 돌아가게 된다.
그래서 세부적인 사업들에 PO(Project Owner)라는 직군이 나타나게된다.
세부적인 사업 카테고리 팀 하나하나에,
PO와 개발자는 속하게 되고,
디자이너는 팀에 속하거나, 외주시스템 및 프리랜서 처럼 지원을 해주게된다.
출시 후 : PO
PO가 하는일
- 로드맵정리, 백로그(각종요구사항), 우선순위 결정, 애자일 프로세스를 많이 사용한다.
- EPIC과 User Story로 정리하고있다.
- 데이터분석 및 A/B테스트를 한다.
(이렇다보니, CEO가 유기적으로 의사결정하는 것 처럼 보여,
Mini CEO라고도 부른다.)
장점
- 고객 중심으로 최적화가 가능하다.
- 동시다발적 제품 고도화가 가능하다.
단점
- 인력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 팀간의 분열 가능성이 있다.
PM을 중심으로, PO를 중심으로 하는 것에 대해 정답은 따로 없고, 각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기획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PM을 위한 가설검정 실전 가이드 (0) | 2024.11.19 |
---|---|
부트캠프 성공적으로 완주하고 뽕 뽑는 10가지 비결 (8) | 2024.11.09 |
블로그 습관을 만들자! 티스토리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 (3) | 2024.11.04 |
트렌드를 놓친 PM은 살아남지 못한다 (6) | 2024.09.30 |
이미 PM인 사람과, 되고싶은 사람들이 꼭 알아야할 유용한 정보 (0) |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