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자2

트렌드를 놓친 PM은 살아남지 못한다 글을 쓰고 있는 현재(2024년 9월 말)의 트렌드는 어떠한가? 이주은 치어리더의 삐끼삐끼와, 야구선수 예능진출을 비롯한, KBO흥행? 가비의 "매니절~"을 비롯한 여러 밈 홍수? 곽튜브 피식대학과 같은 다양화된 캔슬컬쳐?  트렌드 분석이 필요한 이유여러 매체들에서 지겹도록 들었겠지만, 기술의 발전, 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 등으로 세상은 급격히 변하고 있다. 기획자는, 시장 요구에 맞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하며, 변화하는 세상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래를 대비한 전략을 수립하여, 소비자들의 행동 예측에 따라 기획에 반영 가능하다. 다른 기획자들과의 차별성과 높은 연봉, 통찰력을 원한다면, 넓은 시야로 트렌드를 읽어내고, 그 배경을 분석하는 사고 습관이 절대.. 2024. 9. 30.
PM / PO /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점 어떤 사업의, 아이디어만 있다고 했을 때, 출시 전과 출시 후 로 나누게 된다면,PM(Project Manager)과 서비스 기획자은 주로 프로젝트 출시 전에 정의를,PO(Project Owner)는 주로 프로젝트 출시 전에 관리를 하게 된다. 따라서, 신규프로젝트를 출시하거나, SI와 에이전시에 소속되어 Product를 출시할때는,프로젝트를 설계하는 PM & 서비스 기획자가,출시 후 사업에 세부 카테고리가 생겨, B2C성격을 띄게 되어 다양한 고객이 있는경우에는,프로덕트의 의사결정을 많이하는 PO가 필요하게된다.출시 전 : PM & 서비스 기획자요구 사항 분석 단계- 비즈니스 관계자 (=의사결정권자 / e.g : CEO, 운영자) 와 소통하며 서비스 내용을 파악을 한다.고객분석 단계- 고객이 아직 없기.. 2024.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