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고 있는 현재(2024년 9월 말)의 트렌드는 어떠한가?
이주은 치어리더의 삐끼삐끼와, 야구선수 예능진출을 비롯한, KBO흥행?
가비의 "매니절~"을 비롯한 여러 밈 홍수?
곽튜브 피식대학과 같은 다양화된 캔슬컬쳐?
![]() |
![]() |
![]() |
트렌드 분석이 필요한 이유
여러 매체들에서 지겹도록 들었겠지만, 기술의 발전, 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 등으로 세상은 급격히 변하고 있다.
기획자는, 시장 요구에 맞는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하며,
변화하는 세상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래를 대비한 전략을 수립하여, 소비자들의 행동 예측에 따라 기획에 반영 가능하다.
다른 기획자들과의 차별성과 높은 연봉, 통찰력을 원한다면,
넓은 시야로 트렌드를 읽어내고, 그 배경을 분석하는 사고 습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제가 생각하는 PM은 항해사예요. 미리 암초(=리스크)를 발견하고 바람(=트렌드)을 읽으며
목적지(=플랫폼 런칭)에 안전하고 빠르게 도달하게 하는 것이 PM이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이죠.
- 데브 시스터즈 8년차 개발 PM 한완진 -
트렌드 분석이라 함은?
사회적, 기술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의 흐름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과정으로,
트렌드 분석을 통해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새로운 기회를 발굴할 수 있다.
트렌드의 예를 들자면, 기술 트렌드(인공지능, 블록체인), 소비 트렌드(개인화, 친환경 소비), 사회적 트렌드(재택근무, 워라밸)이 있고,
수단으로는 네이버의 DataLab(https://datalab.naver.com/)과,
구글 Trends서비스(https://trends.google.co.kr/trends/),
고객데이터를 설문을 진행하는 오픈 서베이(https://opensurvey.io/),
경영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https://www.mckinsey.com/kr/our-insights/our-insights),
애널리스트 분석자료가 있는 한경컨센서스(https://markets.hankyung.com/consensus) 등이 있다.
또한, 분석툴로는 Python, Mysql, R, 구글 애널리틱스, Tableeau, Power BI 가 있다
핵심 기능 | 상세 기능 | 장점 | 단점 | |
---|---|---|---|---|
파이썬 | 데이터 분석 및 처리 | 데이터 분석, 시각화, 머신러닝,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 | 직관적인 문법 / 풍부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높은 플랫폼 호환성 | 실행 속도가 느린 편 / 많은 메모리 소비 |
R | 데이터 분석 및 처리 | 통계 분석 기능, 통계적 추론, 시뮬레이션, 머신러닝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 | 통계적 분석에 강점 / 10,000개 이상의 다양한 패키지 / 뛰어난 시각화 기능 | 프로그래밍, 통계, 수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 |
MySQL | 데이터 분석 및 처리 | SQL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추출, 필터링, 집계하는 등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무료 및 오픈 소스 / 빠른 처리 속도와 높은 성능 / 다양한 운영 체제 호환성 | 복잡한 설정 및 관리 |
Microsoft Excel |
데이터 분석 및 처리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사무용 프로그램.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 다양한 기능 제공 / 포맷팅 및 조건부 서식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어려움 / 복잡한 분석 작업 제한 |
Google Analytics |
비즈니스 의사 결정 및 데이터 시각화 | 웹사이트 방문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웹로그 분석 도구. | 웹/앱 통합 분석 가능 / 이벤트 중심 데이터 모델 / 구글 클라우드 연동 | 복잡한 데이터 분석에는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 |
Tableau | 비즈니스 의사 결정 및 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분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내 커뮤니케이션이나 업무 보고에 직관적으로 활용.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 다양한 데이터 소스 연결 / 뛰어난 시각화 기능 / 데이터 스토리텔링 | 대규모 데이터 분석에 어려움 |
Power BI | 비즈니스 의사 결정 및 데이터 시각화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툴.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고 대시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시각화. | 통합된 Microsoft 환경 /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 다양한 데이터 소스 연결 / 협업 및 공유 기능 | 복잡한 쿼리 작성 어려움 |
트렌드 분석을 통해 성공한 기획 사례
1) 애플(Apple)의 iPhone
- 애플은 2000년대 중반부터 터치스크린 기술과 모바일 기기의 통합 기능에 주목했다. 당시 휴대폰 시장은 물리적 키패드가 있는 전통적인 디자인을 주로 쓰고있었지만, 애플은 더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을 깨달았다.
- 2007년, 마침내 애플은 최초의 iPhone을 출시하게 된다. iPhone은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전화, 문자, 음악, 웹 브라우징 등을 하나의 기기에서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 피처폰 시장에 큰 충격을 주며, 모바일 기기 사용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킴.
- 성공 요인 : iPhone의 성공은 애플이 당시 기술의 진보와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를 제품 기획에 반영한 덕분이다. 특히, 앱 스토어를 통한 에코시스템 구축은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며, iPhone을 단순한 기기가 아닌 플랫폼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2) 넷플릭스(Netflix)
- 2000년대 초반, 넷플릭스는 DVD 대여 서비스를 시작으로 미디어 업계에 진출하였다. 하지만 2007년부터 빠르게 인터넷 대역폭이 증가하고,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패턴이 보이기 시작하자, 넷플릭스는 포착하였다.
- 넷플릭스는 2007년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후 2013년부터 자체 제작 콘텐츠(오리지널 시리즈)를 강화하며 "하우스 오브 카드"와 같은 작품을 성공시키며 차별화를 꾀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경험을 제공했고, 스트리밍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 성공 요인: 넷플릭스의 성공은 인터넷 속도 향상과 소비자 콘텐츠 소비 패턴의 변화를 빠르게 읽어낸 덕분이다. 특히,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과감히 전환한 것이 큰 역할을 하였다.
3) 패션 산업의 지속 가능성 트렌드
- 2010년대 후반부터 환경 보호와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패스트 패션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면서,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한 소재와 환경친화적인 제조 공정,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브랜드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 2015년, 파타고니아(Patagonia)는 "Don't Buy This Jacket" 캠페인을 통해 환경 보호를 강조하며 자사의 제품이 오래 사용될 수 있도록 수리 서비스와 중고 거래를 장려했다. 이는 역설적이게도 브랜드 이미지와 신뢰성을 높이며 매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외에도 2020년, H&M은 지속 가능한 소재로 만든 "Conscious Collection"을 출시하며 친환경 패션 트렌드에 맞춰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려 하였다.
- 성공 요인 : 패션 브랜드들이 지속 가능성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맞춘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펼친 것은 소비자들의 가치관 변화에 부응한 결과이다. 이는 브랜드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소비자와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 변화에 대응하는 기획자의 역할
-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읽어내는 데이터 해석 능력이 필수이다.
- 다양한 분야의 트렌드를 폭넓게 이해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 창의성과 유연성을 갖고 트렌드에 맞춰 기획을 새롭게 설계할 수 있는 창의적인 사고를 가져야한다.
- 위의 요소들로, 빠르게 기획을 실행할 수 있는 민첩성과 실행력을 가져야 한다.
- 트렌드 분석을 기반으로 한 기획이 미래의 비즈니스를 주도할 것 이다.
사진 출처
한완진님 멘트 및 사진 : https://gamemakers.community/story/?bmode=view&idx=18430578
패션 브랜드의 ESG : http://m.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208957?cat=CAT247
'기획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PM을 위한 가설검정 실전 가이드 (0) | 2024.11.19 |
---|---|
부트캠프 성공적으로 완주하고 뽕 뽑는 10가지 비결 (8) | 2024.11.09 |
블로그 습관을 만들자! 티스토리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 (3) | 2024.11.04 |
이미 PM인 사람과, 되고싶은 사람들이 꼭 알아야할 유용한 정보 (0) | 2024.08.08 |
PM / PO /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점 (1) | 2024.08.06 |